[디지털타임스] [한반도-북방 문화전략포럼] 김성환 "동유럽과 친환경사업 협력… K팝 저력 문화교류 기대"
글쓴이 :
HK담당자
등록일 :
2021-04-18 12:00:37
조회수 :
2,829회
글쓴이 : HK담당자
등록일 : 2021-04-18 12:00:37
조회수 : 2,829회
김성환 동아시아재단 이사장이 과거 냉전시대의 한계를 넘어선 \'북방 2.0\'으로 외교 지평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 단순히 수출 확대라는 경제적인 이익만 볼 것이 아니라, 정부가 중앙아시아와 동유럽 국가들이 우리에게 원하는 것을 적극 청취해 교류하고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한 김 이사장은 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과 디지털타임스 주최로 열린 \'한반도-북방 문화전략포럼\' 기조연설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이사장은 "정부서는 신북방이라는 말을 쓰고 있지만 북방외교 2.0이라는 이름으로 얘기하고자 한다"고 전제하면서, "특히 중앙아시아의 국가들과 동유럽 국가들과의 실질적 관계를 더 발전시키고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의 \'북방외교 2.0\'이라는 용어는 우리 외교사에 있어 \'북방\'의 의미 변화와도 관련이 깊다. 본래 북방이라는 용어는 고 박정희 전 대통령 재임 당시인 1972년 \'북방외교\'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당시 북방외교는 북한을 제외한 공산권 국가와의 외교를 뜻했다.
대미국 일변도의 우리 외교의 지평을 넓히기 위함이었지만 전두환 정부때까지 큰 진전은 없었다. 이후 노태우 정부 시절부터 북방이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고, 1988년 서울올림픽은 북방정책을 확대하는 좋은 기회로 작용했다.
김 이사장은 서울올림픽이 북방외교의 물꼬를 터줌에 따라 1989년 헝가리와의 수교를 시작으로 1990년 당시 소련 등과 외교관계를 수립했고, 이 같은 북방정책은 대 북한 관계에서도 성과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개발 등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북방정책은 우리 외교에서 잊혀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이제 다시 북방외교를 활성화 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북방외교 2.0\'을 주창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첫 단추로 중앙아시아 지역을 점찍었다.
그는 이 지역이 과거 일제강점기 시절 당시 소련 스탈린 정부에 의해 우리 동포들이 강제 이주해 정착했던 역사를 언급하며 "약 50만명의 한국계 동포가 거주하고 있는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2002년부터 약 2년간 주 우즈베키스탄 대사와 아제르바이잔·타지키스탄의 겸임대사로 근무하면서 당시 현지 주민들이 우리 동포들을 어떻게 도와줬는지 생생히 들을 수 있었다며, 이는 \'북방 2.0\'의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아시아 5개국가는 공통점도 많지만 개별 국가별로 부존자원과 경제 발전의 수준이 다르고 필요로 하는 협력사업도 서로 다르다"며 "각국별 특성을 반영한 협력증진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 다음 단계로는 동유럽 국가들과의 협력 증진을 제시했다. 그는 EU(유럽연합)가 추진 중인 \'2050 탄소중립\' 정책에 맞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비롯해 다양한 친환경 사업에서의 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조성진 피아니스트의 폴란드 쇼팽 콩쿠르 입상 등으로 K-팝에 이은 K-클래식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며, 지속적인 문화적 협력도 이뤄지길 기대했다.
김 이사장은 끝으로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내년에는 중앙아시아 5개국 등 북방 11개국과 수교 30년이 되는 해"라며 "내년에는 코로나 상황도 해소돼 해외여행이 자유로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 지역에 대한 우리의 공공외교도 더욱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기조연설을 마친 뒤 우리 기업들의 실질적인 현지 시장공략 방안을 묻는 질문에 "현지 경제 수준이 아직까지 우리에 비해 높지 않고 물류 등의 문제도 있는 만큼 항공으로도 운송이 가능한 경공업 중심의 투자가 유리할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단순히 수출 확대에 집중하기 보다 북방지역 국가들이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청취해 이를 함께 해결해 나가면 상호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